투텀뉴스

 

 

어릴때엔 연봉 5000만원, 1억 이렇게 벌면 그거 그냥 다 갖는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막상 어른이 되고 보니 세금으로 이리저리 떼고 나면 생각보다 실수령액은 낮아졌습니다.

예를들어서 1년 연봉으로 4000만원으로 벌었다고 했을때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등을 제하고 남은것을 받게 됩니다.

4000만원이 연봉이라고 했을때 각종 세금을 제하고 나면 실수령액은 약 월 290만원정도입니다. 생각보다 낮아지죠? 그리고 소득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공제액은 늘어납니다.

4대보험 요율을 2019년과 비교를 했을때 2020년은 국민연금만 동결이며 건강보험은 6.46% 에서 6.67%로, 장기요양보험은 8.52%에서 10.25%로, 고용보험은 1.3%에서 1.6%로 올랐습니다.

 

 

월급은 안오르는데 다른건 다 오른다는 말이 실감나네요

열심히 살고 있긴한데 뭔가 계속 하고 있는데 제자리 걸음을 걷고있는듯한 이 느낌이 착각이길 바라겠습니다.

하루하루 버티는것도 힘든데 복잡한 요율을 보며 연봉을 계산하기엔 너무나도 귀찮고 번거롭습니다.

때문에 오늘은 2020 연봉 실수령액을 머리아픈생각 할것없이 쉽게 계산기를 돌려서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엔 연봉계산하는 계산기나 프로그램들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 몇가지만 기입한다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봉뿐만 아니라 부동산 수수료와 관련된것이나 각종 수수료에 대한 계산기도 지금 생각하시는 웬만한 것들은 이미 다 만들어져 있으니 혹시라도 이 말이 생각난다면 한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2020 연봉계산기 소개

계산기는 사람인같은 사이트에 보셔도 있지만 요즘은 네이버 메인에서 아래와같이 검색하셔도 바로 나오기 때문에 찾기 쉬울겁니다. 혹시나 싶어서 스크롤을 내려서 이 글을 보고 계시다면 아까전에 봤던 그게 맞으니 바로 계산을 해보시면 됩니다.

연봉뿐만 아니라 시급, 퇴직금, 실업급여까지 미리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옵션으로는 월급/연봉을 선택할 수 있고 하단에 '비과세액'이라는것이 있는데 식비같은것들을 말하는것입니다. 이건 회사마다 다르니 본인 조건에 맞는 금액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또한 부양가족수와 20세이하 자녀수에 따라서 요율이 조금씩 바뀌니까 정확하게 입력을 해주셔야 합니다.

연봉 4000만원에 가족은 4명, 자녀는 2명이라고 했을경우에 실수령액은 월 300만원정도이며 실수령 연봉은 3620만원 정도입니다.

자녀수를 다르게 조절해보면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계산기를 이용하면 몇초만에 실수령액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편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분들 모두 저 계산기에 1억이라고 쓰는날이 올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